<p></p><br /><br />오늘 팩트맨은 서울올림픽 기념관에서 시작합니다. <br> <br>올림픽에서 성과를 낸 대표팀 선수들, 포상금과 연금 혜택이 주어지죠. <br> <br>하지만 같은 색 메달이라도 포상금은 다른 게 맞느냐는 시청자 문의가 많았습니다.<br> <br>팩트맨이 따져보니 실제로 천차만별이었는데, 스튜디오로 자리 옮겨 이유를 짚어봅니다. <br> <br>아쉽게도 메달을 따지는 못했지만 한국 신기록을 세운 두 선수입니다. <br><br>육상 높이뛰기에서 2m 35cm로 4위에 오른 우상혁 선수, 포상금 2천만 원을 받았고요. <br> <br>수영 자유형 황선우 선수는 3백만 원을 받았습니다. <br> <br>포상금 차이 어디서 발생할까요?<br> <br>올림픽 출전 국가대표 선수가 받는 포상금, 크게 세 가지로 구성됩니다. <br> <br>메달리스트에게 주는 문화체육관광부 포상금, 국민체육진흥공단 연금, 그리고 소속 연맹 포상금인데요. <br> <br>우상혁, 황선우 선수 메달을 따진 못해서 당장 문체부 포상금이나 연금 지급 대상은 아닙니다. <br> <br>두 사람의 포상금은 소속 연맹에서 자체적으로 준 건데요.<br> <br>한국 신기록을 세우면 대한수영연맹은 회당 100만 원, 대한육상연맹이 회당 2천만 원을 지급합니다. <br> <br>[정두진 / 대한수영연맹 차장] <br>"한국 신기록 수립자에게 100만 원씩 지급하거든요. 황선우 선수가 자유형 200m에서 한 번 100m에서 두 번, 한국 신기록 세 번 수립해서…." <br> <br>메달리스트 포상금도 연맹마다 다르고, 단체전이냐 개인전이냐에 따라 지급액도 달라지는데요. <br><br>리우올림픽 기준으로 펜싱과 양궁의 금메달리스트가 받을 포상금 살펴볼까요. <br> <br>펜싱협회는 단체전 1억, 개인전 5천만 원을 주고요. <br> <br>양궁은 개인전 2억, 단체전 1억 5천만 원인데요. <br> <br>두 협회 모두 도쿄올림픽 메달리스트 포상금을 올리는 방안을 논의 중인 만큼 실제 지급액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. <br> <br>더 궁금한 점은 팩트맨, 제보 부탁합니다. <br> <br>권솔 기자 kwonsol@donga.com <br> <br>[팩트맨 제보 방법] <br>-카카오톡 : 채널A 팩트맨 <br>-이메일 : factman.newsa@gmail.com <br> <br>영상취재 : 한일웅 <br>연출·편집 : 황진선 PD <br>구성 : 박지연 작가 <br>CG : 한정민 임솔